주식 시장에서 갑작스럽게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상황을 경험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변동성이 심한 장에서는 순식간에 수익이 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입을 위험도 큽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바로 변동성 완화장치,
즉 **VI(Volatility Interruption)**입니다.
오늘은 주식 VI의 개념, 작동 방식, 정적 VI와 동적 VI의 차이,
그리고 실제 투자 시 꼭 알아둬야 할 포인트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주식 VI(변동성 완화장치)란?
VI(Volatility Interruption)는 주가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급변할 경우 거래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투자자에게 냉정을 찾을 시간을 주기 위한 제도입니다.
일명 ‘냉각 장치(Cooling-Off)’라고도 불리며,
거래가 잠시 멈춘 후 2분간 단일가 매매로 호가를 모아 거래를 재개합니다.
이 장치는 급변하는 가격에 휘둘려 감정적인 판단으로 매매를 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VI의 유형 – 정적 VI vs 동적 VI
정적 VI(Static VI)
정적 VI는 단일호가 혹은 누적된 호가로 인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가격변동이 발생할 경우 발동됩니다. 주가가 시가 기준 혹은 직전 단일가 대비 10% 이상 변동 시 적용됩니다.
- 적용 시간: 접속매매 시간 전후 무관
- 대상 종목: 유가증권, 코스닥, KOSPI200, 레버리지, 섹터지수 등 (단기과열 종목 제외)
- 단일가매매 시간: 2분간
📎 예시: 주가가 갑자기 10%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 → 정적 VI 발동 → 2분간 단일가매매 진행
동적 VI(Dynamic VI)
동적 VI는 호가 제출 시점 기준 직전체결가 대비 특정 비율 이상으로 가격이 급등락할 경우 발생합니다.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서 순간적인 수급 불균형이나 주문 착오로 인한 급변 상황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
- 코스피200, KRX100: 3% 이상 변동 시
- 일반 유가증권 및 코스닥 종목: 6% 이상 변동 시
- 단일가매매 시간: 2분간
📎 예시: 특정 호가가 갑자기 6% 이상 차이나는 가격에 입력 → 동적 VI 발동 → 단일가매매 전환
참고해야 할 예외 사항
- 신규 상장일에는 VI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시장 가격 형성 방해 우려)
- 코넥스 → 코스닥 이전상장 종목도 상장일 당일 VI 미적용
- 유가증권 ↔ 코스닥 이전상장 종목은 정상적으로 VI 적용
- 서킷브레이커 발동 시 기존 VI는 자동 취소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VI 작동 원리
- 호가 급등락 방지: 주문 착오, 알고리즘 매매로 인한 급변성 조절
- 시장 왜곡 방지: 시장 흐름이 과도하게 왜곡되는 것 방지
- 감정 매매 차단: 급등에 놀라 매도, 급락에 놀라 매수하는 ‘공포 매매’ 방지
VI 발동 시 ‘가격/시간 우선 원칙’은 그대로 유지되며, 단일가매매 시간 동안은 호가의 방향성과 체결 강도를 다시 체크하는 기회가 됩니다.
VI 발동이 많은 날은 언제였을까?
역대 VI 발동 상위일을 보면, 대체로 금융위기, 지정학적 리스크, 코로나19 초기 등 시장의 불확실성이 극도로 커졌던 시기와 일치합니다. 이는 VI 제도가 얼마나 시장을 안정시키는 중요한 장치인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정리: VI를 아는 것이 리스크 관리의 시작
변동성 완화장치(VI)는 단순한 제도 이상으로, 투자자가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안전장치입니다.
특히 급등주, 신규 상장주, 테마주에 투자하는 경우, VI 발동에 따라 주가 흐름이 바뀔 수 있으므로 사전 이해가 필수입니다.
이 글 핵심 요약
- VI는 주가 급변 시 일시 거래 중단 장치
- 정적 VI는 누적 변동성, 동적 VI는 순간 변동성 조절
- 단일가매매는 2분간 진행되며 시간/가격 원칙은 유지
- 특정 조건이나 종목은 예외 적용 가능
'리츠(REITs)'란? 세금 없이 배당받는 꿀팁!
최근 불확실성이 커진 주식 시장 속에서안정적인 수익과 꾸준한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라면꼭 알아야 할 투자 방식이 있습니다. 바로 ‘리츠(REITs)’입니다. 주식처럼 매매 가능하면서도 부
soowebsite.com
부동산 규제지역 확인법 총정리
부동산 투자를 고민하거나, 아파트 청약을 준비하고 있다면반드시 체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바로 정부에서 지정한 ‘부동산 규제지역’ 여부입니다. 부동산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 대출 한
soowebsite.com
공매도란? 투자자가 피해야 할 공매도 위험 신호 3가지!
주식 투자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 공매도. 주가 하락을 먹고 사는 이 투자 전략은그 자체로 투자자들에게 공포감을 주기도 합니다. “공매도 세력이 들어왔다더라”는 소문만으로도 주
soowebsite.com
미국 월배당 ETF로 ‘월세 500만원’ 만들기! JEPI·JEPQ 투자 전략 총정리
누구나 꿈꾸는 ‘노동 없는 현금 흐름’,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바로 미국 월배당 ETF입니다. 오늘은 JEPI와 JEPQ, 이 두 ETF를 중심으로월세 받는법을 본격 분석해보겠습니다. 미국 월배당 ETF란?ET
soowebsite.com